[계춘할망, 2016]
감독:창
출연:윤여정, 김고은, 김희원, 신은정, 양익준
줄거리
12년 만에 잃어버린 손녀를 기적적으로 찾은 해녀 계춘. 손녀 혜지와 예전처럼 단둘이 제주도 집에서 함께 살면서 서로에게 적응해간다. 그러나, 아침부터 밤까지 오로지 손녀 생각만 가득한 계춘과 달리 도통 그 속을 알 수 없는 다 커버린 손녀 혜지. 어딘가 수상한 혜지에 대한 마을 사람들의 의심이 커져가는 가운데, 혜지는 서울로 미술경연대회를 갔다가 사라진다. 12년 만에 혜지가 할망을 찾아온 진짜 이유는 무엇일까? 할머니와 떨어져있던 시간 동안 혜지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계춘할망]은 가족 영화에서 보기 드문 할머니와 손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우리의 일상에서는 매우 친숙한 가족 관계지만 이야기의 소재로는 좀처럼 다뤄지지 않은 관계이기에 영화가 이를 어떻게 그려냈을지가 관건이다. 결과적으로 제주도의 아름다운 풍경을 가득 담은 [계춘할망]은 정겨운 분위기와 따뜻한 감성을 유지해 배경과 이야기의 주제가 조화를 이루는 드라마였다.
전체적으로 정겨운 분위기를 지니고 있지만, 영화는 할머니와 손녀라는 특별한 가족 관계를 부각해 이러한 관계가 지닌 정서에 대해 세밀하게 이야기하려 한다.
12년간의 이별로 인해 발생한 어색한 관계를 여성 특유의 심리 묘사와 부드러운 감성으로 표현한 방식들이 돋보이며, 이를 통해 인간이 지닌 상처와 어두운 내면을 유심있게 바라보려 한다. [계춘할망]의 키 포인트는 바로 할머니와 손녀 사이에 발생한 어색한 관계와 극복 과정에 있으며, 이를 정겨움이 가득한 유머와 드라마로 풀어낸 장르적 재미가 돋보인다.
혜지의 어두운 과거와 상처가 등장하는 장면은 자칫 어두워질 수 있는 전개 방식으로 이어지게 되지만, 제주도로 상징되는 자연과 할머니라는 존재감을 지닌 인자함을 강조하며 상처와 아픔을 위로하는 힐링 드라마로 완성된다.
그러한 의도가 너무 강조된 후반부는 전반부와 다소 어울리지 않은 투박한 설정과 개연성이 떨어진 전개방식을 도입하며 아쉬움을 가져다 준다. 그럼에도 마지막을 통해 영화 초반에 보여준 따스한 감성으로 회귀하는 마무리는 이러한 아쉬움을 충분히 덮어준다.
아름다운 풍경과 따뜻한 이야기에 정점을 찍는 배우들의 명품 감성 연기는 [계춘할망]이 지닌 장점이자 감동을 불러오는 요소다. '만인의 할머니'라 해도 과언이 아닌 윤여정의 연기는 눈빛과 표정만으로도 할머니의 따뜻한 품을 그립게 하는 정서를 불러온다. 제주도 해녀와 방언을 자연스럽게 구사하며 여러 배역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연기는 윤여정이라는 관록의 배우가 지닌 특유의 재능이다.
윤여정의 인간미와 조화를 이루는 김고은의 손녀 연기도 인상적이다. 어색해진 할머니와의 관계를 비롯해 익숙하지만 낮선 제주도의 환경 속에서 서서히 변화되어가는 헤지의 모습은 김고은이 지닌 옛 된 이미지와 너무나 잘 어울리는 느낌을 가져다 준다. 서로의 개성과 장점과 잘 어울린 배역을 만난 탓인지 두 배우가 연기하는 할머니와 손녀 연기는 영화를 보는 내내 정겨운 재미와 인상 깊은 여운을 만들어 낸다.
이 밖에도 김희원, 신은정, 양익준이 선보이는 조연들의 존재도 [계춘할망]이 지는 특이한 정서와 잘 맞물리며 신선한 재미와 감동을 완성한다.
명품연기와 아름다운 영상의 조화로 신선한 감동을 불러오는 반가운 가족 영화 [계춘할망]은 5월 19일 개봉한다.
작품성:★★★
오락성:★★★☆
연출력:★★★
연기력:★★★★
총점:★★★☆
최재필 기자 (보도자료/제휴 문의/오타 신고) movierising@hrising.com
(사진,영상=(주)콘텐츠난다긴다)
※ 저작권자 ⓒ 무비라이징.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